2015아시아문화포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2015아시아문화포럼 HOME

2015아시아문화포럼

주 제 : 문화, 기술 그리고 창의성 : 문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세션주제 :
    1) 아시아 유럽재단(ASEF) 공공포럼- 아시아와 유럽의 창조도시 - “도시: 문화를 위한 역동적인 실험실”
    2) 창조성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3) 한국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시장 라운드테이블
    4) 문화정책 국제컨퍼런스 (ICCPR) 2016 사전회의 - “창조산업의 이슈들: 북유럽과 아시아의 사례”
    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컨퍼런스 - “한국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방향성”

기  간 : 2015. 11. 24(화)~26(목)(3일간)

장 소 : 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정보원 극장3

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 / 광주광역시

주 관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유라시아연구소)

후 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 아시아-유럽재단(Asia-Europe Foundation)/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문화정책 국제컨퍼런스(ICCPR) / 한국관광공사 / 광주관광컨벤션뷰로 / 아시아문화학회

행사내용 : 학술행사(발제 · 토론) 및 부대행사 등

부대행사 : 아시아문화전당 개관식 참여, 환영리셉션, 문화투어, 기자회견 등

구분 일시 내용
2015
아시아문화포럼
개회식 및 기조연설
11.24(화)
10:30~11:45
아시아문화전당 소개 : 5~7분, 시각자료 및 설명
개회사 :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축 사: 임향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위원장
축 사 : 장옌 아시아-유럽 재단(ASEF) 사무총장
기념사진촬영
아시아문화포럼 소개 : 5~7분, 시각자료
기조연설: 장 프랑소와 슈네 (지중해문명박물관(MuCEM)관장)
‘마르세유와 지속 가능한 도시발전: MuCEM의 사례를 통하여’
오찬 12:00∼13:30 오찬
세션 1 :
제 8회 아시아-유럽재단 (ASEF) 공공포럼
아시아와 유럽의
창조도시
- 도시: 문화를 위한
역동적인 실험실
13:30 ~ 13:45 제8회 ASEF 공공포럼 : 무대 세팅
제7회 ASEM 문화장관회의 프레젠테이션

- 금기형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과 과장)
13:45 ~ 14:30 1: 도시의 문화와 정책입안 : 일반 대중에게 쉽게 문화를 접근시킬 방법은?
좌장
- 아누파마 세카르 (아시아-유럽 재단(ASEF) 문화부 국장)
발제
- 캐터린 컬렌 (세계지방자치단체연합(UCLG) 문화위원회 의장)
토론
- 드위니타 라라사티 (동남아시아 창의도시 네트워크(SEACCN) 대표)
- 야스민 오스텐도르프 (『Creative Responses to Sustainability (Korea Guide)』
  의 작가)
- 김윤경 (구글 문화원 지원전문가)
14:30 ~ 15:20 2: 문화수도 모델 : 도시의 문화 발전을 위한 촉매?
좌장
- 홍기원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교수)
패널
- 카르스텐 슈에렙 (Valletta 2018 Foundation의 상임이사)
- 유사쿠 이마무라 (일본 도쿄 원더사이트 관장)
토론
- 한나 예드라스 (폴란드 2016 브로츠와프 유럽문화도시 책임자)
15:20 ~ 15:40 휴식
15:40 ~ 16:30 3: 창조 도시 형성을 위해 문화기관 및 시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좌장
- 류재한 (2015 아시아문화포럼 추진단장)
패널
- 죠 시덱 (말레이시아 조지타운 페스티벌 예술감독)
- 마크 던힐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 예술대학 학장)
토론
- 피오누알라 크로케 (아일랜드 체스터 비티 도서관 관장)
16:30 ~ 17:30 4: 도시 : 리더십과 창조성의 인큐베이터?
좌장
- 수잔나 사이들-폭스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글로벌 세미나 프로그램 감독)
패널
- 아룬다티 고쉬 (인도예술기구 이사)
- 피오누알라 크로케 (아일랜드 체스터 비티 도서관 관장)
- 프로에움 프림 (캄보디아 Living Arts‘ 총감독)
17:30~17:40 요약 및 끝맺는 말
환영만찬 18:00∼ 환영만찬
아시아문화전당 개관식 11.25(수)
10:30~12:30
아시아문화전당 개관식 참석 및 전당 투어
오찬 12:40∼14:00 오찬
세션 2 :
창조성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14:30~15:55 기조연설 지건길 (전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위원회 위원장)
1. ‘앙기엥레벵과 창의성 : 미디어 아트’
발제
- 도미니크 롤랑 (앙기엥레벵 미디어아트센터 소장)
토론
- 김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기획·평가센터장)
2. ‘시민의 창의성을 통한 삿포로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발제
- 마나부 치노 (삿포로시 창의도시 홍보부 책임자)
토론
- 황병하 (조선대학교 아랍어학과 교수)
15:55 ~ 16:15 휴식
16:15~17:30 3. ‘상하이와 창의성: 라오창팡 사례를 통하여’
발제
- 리 시엔더 (상해 사범대학교 도시발전연구원 부교수)
토론
- 김세준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교수)
4. ‘요코하마와 창의성: 문화와 예술을 통한 도시재생’
발제
- 구니히로 노다 (일본 창의도시네트워크 고문)
토론
- 이흥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원장)
좌장: 이 철 (누리문화재단 이사장)
세션 3 :
한국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시장 라운드테이블
15:00 ~ 17:00 서울 :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이천 : 조병돈 이천시장
전주 : 김승수 전주시장
광주 :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부산 : 서병수 부산광역시장
리셉션 18:00∼ 리셉션
세션 4 :
ICCPR 문화정책
국제컨퍼런스 사전회의
- 창조산업의 이슈들: 북유럽과 아시아의 사례
11.26(목)
09:30 ~ 12:00
발제1 - 지크리드 로오이셍 (노르웨이 비즈니스스쿨 교수)
‘창조산업시대의 예술가의 사회 계약-북유럽의 관점에서’
발제2 - 제니 요하니슨 (스웨덴 보로스 대학교수)
‘북유럽의 creative place-making과 초국경적 문화정책’
발제3 - 노부코 카와시마 (일본 도시샤대학교 교수)
‘아시아 국가들의 문화산업에 대한 비교론적 접근’
토론1 - 김세훈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교수)
토론2 - 정종은 (메타기획컨설팅 부소장)
토론3 - 루스 베레슨 (호주 그리피스대학 교수)
좌장 - 홍기원 (숙명여자대학교 정책산업대학원 교수)
오찬 12:30∼14:00 오찬
Session #5 :
한국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방향성
14:00-18:30 개회사 : 민동석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총장
기조연설1 : 마사유키 사사키 (일본 도시샤 대학교 교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와 도시개발‘
기조연설2 : 한경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장)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의의 및 가능성'
기조연설3 : 구니히로 노다 (일본 창의도시네트워크 고문)
'일본 사례를 통해 본 창의도시의 발전방향'
‘유네스코창의도시 네트워크 프로그램 및 최근 동향‘
김귀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문화커뮤니케이션팀장)
발제1 이천(유네스코 공예 창의도시)
          오재환 (이천시청 문화관광과 유네스코창의도시 네트워크 담당 주무관)
발제2 광주(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류재한 (광주미디어아트창의시민포럼 대표)
발제3 전주(유네스코 음식 창의도시)
          정승원 (전주시청 문화체육관광국 관광산업과 주무관)
발제4 부산(유네스코 영화 창의도시)
          윤지영 (부산발전연구원)
발제5 통영(유네스코 음악 창의도시 추진 단계)
          이지연 (통영 유네스코음악창의도시 지정 추진위원회 위원장)
발제6 원주(유네스코 문학 창의도시 추진 단계)
          전영철 (상지영서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
Q/A 및 자유토론
좌장 - 한경구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장
토론 - 박경립 강원대학교 도시건축학부 교수
          이철호 부산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