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청자 소개
![]() 김보람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 / 예술감독 Boram Kim Ambiguous Dance Company / Artistic Director |
전라남도 완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고등학교 1학년 서울로 상경하여 2000년부터 백업댄서로 활동하였다. 이후 현대무용, 스트릿댄스 등 장르에 얽매이지 않고 춤을 춰왔다. 현재는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의 예술감독으로 관객들에게 몸의 언어로 진실된 대화를 통해 다가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 중이다.
|
![]()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Hong Seok Kye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ommunication, Professor |
서울대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신문학 석사, 프랑스 Grenoble3 대학에서 언론정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국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1995-1999), 프랑스 보르도대학 언론정보학과 교수(2000-2013)를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직(2013~)에 있다. 대학원 시절부터 대중문화 연구와 글쓰기를 시작했고, 프랑스에서부터 세계화와 디지털 시대의 초국적 문화 흐름의 사례로 한류를 연구했다. 한류와 한국 대중문화의 디지털 문화형식, 영상문화와 영상방법론, 글로벌 OTT와 팬덤의 시대 한국 드라마와 케이팝에 대한 심층연구를 진행중이다. 주요 저서 및 연구
|
백욱인 |
미디어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전방위적으로 분석해온 사회학자다. 사이버스페이스, 디지털 문화를 국내에 처음 소개하며 연구 주제로 다룬 대표적인 1세대 디지털 사회 연구자이기도 하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지자본주의에 관한 정치경제학 비판과 미디어 문화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인터넷 시대의 지적재산권 문제를 돌파하기 위해 대중 참여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 사진 아카이브 운동을 모색한다. 주요 저서로 번안사회, 인터넷 빨간책, 한국사회운동론 등이 있다. 한국 근대를 꿰뚫는 번안 문화를 파헤치는 『번안사회』는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되었다.
연구분야 |
![]() 신현준 성공회대학교 교수 Hyunjoon Shin Sungkonghoe University / Professor |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문화산업(음악산업)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에 연구교수 및 HK교수로 재직해 왔다. 한국의 대중문화와 문화산업에 대한 연구로 시작하여 아시아에서 국제이주, 도시공간, 사회운동 등으로 연구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국제 저널 Popular Music 의 국제고문위원, Inter-Asia Cultural Studies 의 편집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유수한 국제 저널에 영문 논문을 기고하고 공동저서의 장(chapter)을 저술했다. 1990년대 중반 이래 서울 홍대 지역에 기반한 인디 음악 씬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해 왔다. 주요 저서 및 연구 ● 『Made in Korea: Studies in Popular Music.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2017) ●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 한국 대중음악을 읽는 문화적 프리즘』(돌베개, 2013) ● 『귀환 혹은 순환』(공저/대표편자, 그린비, 2013) ● 『한국 팝의 고고학 1960』(한길아트, 2005) ● 『한국 팝의 고고학 1970』(한길아트, 2005) ● 「Eurasian entanglements: Notes towards a planetary perspective of popular music histories」( Popular Music, 2021) ● 「Urban Commoning for Jarip (Self-Standing) and Survival: Subcultural Activism in ‘Seoul Inferno’」(Inter-Asia Cultural Studies, 2018) 연구분야 정보사회, 인지자본주의, 디지털문화, 사회운동, 계급계층 |
![]() 지현배 동국대학교 교수 Ji, hyunbae Professor at Dongguk University |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윤동주 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경북대 대구교대 안동대 울산대 등에서 강의했고,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문화융합학회 회장, 한국리터러시학회 부회장이며, <한국언어문화교류센터>와 IT기반 한국어교육 콘텐츠 전문 기업 <케이랩 주식회사>의 대표로 있다. 한국 문학과 문화, 글쓰기와 한국어교육 분야에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분야 |
![]()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SHIM Doobo Professor, Dept. of Media and Communi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
고려대학교와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거쳐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싱가포르국립대 교수(2001~06) 경험을 통해 한류의 전개과정을 관찰하고 이론화하였다. 미디어문화연구의 관점에서 아시아 대중문화 및 글로벌 미디어산업 연구를 수행했다. 한국소통학회 회장, 한국동남아학회 연구위원장, 성신여대 국제협력처장 및 사회과학대학장 직을 역임했다. 현재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Journal of Fandom Studies,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등 국내외 학술지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연구분야 |
![]() 이종임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 Lee Jongim Visiting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Media Communication at Kyung Hee University |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Universu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동아시아 연구소에서 방문학자를 지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디지털미디어포맷팅랩 연구원,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심의 위원, SBS 시청자위원, SBS 시청자평가원, 『미디어, 젠더&문화』 편집위원을 역임하였다. 현재 KBS 시청자위원, 경희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객원교수이다. 한류문화의 지형학과 젠더역할수행론, 문화산업의 주요인력으로 유입되는 청소년, 청년세대의 유입과정과 노동의 특수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연구분야 |
![]() 최유준 전남대학교 부교수 CHOI, Yu-Ju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
한국외국어대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석사)와 동아대(박사)에서 음악미학과 음악학, 문화연구를 전공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 음악과에서 박사후연구원(Postdoctoral Fellow)을 지냈다. 미학과 감성 연구, 문화론과 지역 연구를 바탕으로 음악적 근대성 문제에 학술적으로 천착하는 동시에, 사유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비평적 활동과 강연 등을 통해 인문학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서울대, 이화여대, 한양대, 중앙대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전남대 호남학연구원(호남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분야 |
![]() 이동순 조선대학교 교수 Lee dong soon chosun university professor |
전남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조선대학교 자유전공학부에 재직하고 있다. 광주전남 지역문학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광주의 인물과 공간에 대한 스토리텔링 및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한국문화융합학회 부회장, 리터러시학회 편집위원, 중앙어문학학회 편집위원으로 있다.
|
![]() 변정민 큐브엔터테인먼트 이사 중부대학교 대중음악전공 교수 Byun, jungmin Cube Entertainment Director, Professor, Department of Popular Music, Joongbu University |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와 경희대학교 응용예술학 박사를 취득하였고, 예술학박사를 취득하였다. 중부대학교 실용음악학과 학과장 및 대중음악전공 학과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큐브엔터테인먼트 사외이사, 중부대학교 입학홍보처장, 한국문화융합학회와 협회의 부회장이다.
연구분야 |
![]() 정지은 조선대학교 K-컬처공연·기획학과 조교수 Jieun Jung Assistant Professor, Dept. of K-Culture Performance·Planning at Chosun University |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졸업 후 성균관대학교에서 공연예술학 석사,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남연구원 문화예술정책 분야 책임연구원으로 근무(2016~2021)하면서, 중앙정부와 지역의 다양한 문화예술 정책을 수립하였다. 현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전문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전문가,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전문위원회 위원, 한국문화산업학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류, 공연예술, 문화예술경영, 문화예술정책, 문화콘텐츠, 문화예술교육, 축제, 메세나, 메타버스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연구분야 |
![]() 황병하 조선대학교 / 교수(명예교수) HWANG, Byung-Ha Chosun University / Professor(Emeritus) |
한국외대 아랍어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통역대학원 아랍어과 통번역학 석사와 동 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이슬람문화와 종교) 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문화재단 이사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부회장 겸 이사를 맡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사우드 대학교 방문교수, 이집트 카이로 아메리칸 대학교 방문교수, 뉴질랜드 웰링턴 빅토리아대학교 방문교수를 역임하였다.
|
![]() 천잉옌(陈颖艳) 푸젠성 취안저우 해외교통사박물관 부관장 Chen Yingyan Vice Director of Quanzhou Maritime Museum |
2007년 7월 샤먼(厦门)대학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2009년 7월 중국 런민(人民)대학 일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중국 중국 국가도서관에 입사하여 해외 중국학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가도서관 재직 기간, '국가도서관개론'(국가도서관출판사, 2018년), '해외 중국연구저작 선정개요 2013'(국가도서관출판사, 2016년), '국외도서관 법률선집'(지식재산권출판사, 2014년), '해외학자논-차오위'(광서사범대, 2014년)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 2017년에 취안저우 해외교통사박물관으로 이직하여 전시 기획과 교류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기획한 전시와 강좌로는 2017년 일본 나가사키현 <엄나무 돛 그림자-취안저우 해외교통사박물관 ‘해상 실크 로드’ 소장유물 전시>, 2018년 <코가네초(黄金町)-예술교류 및 커뮤니티 재생>, <동아시아문화도시 취안저우와 요코하마 간 대화와 교류: 예술로 도시를 재생하다> 등이 있다. ● 『국가도서관개론』(2018) 연구분야 |
![]() 타테이시 사오리(立石沙織) 요코하마 AIR ACT 실행위원회 프로젝트 매니져 Saori, TATEISHI Project Manager of YOKOHAMA AIR ACT Executive Committee |
시즈오카대 예술대학 문화정책학부 예술문화학과에서 예술경영을 전공하였다. 「고가네마을 바잘2011(가나가와현)」코디네이터, 「히요리(日和) 아트센터(미야키현)」(2012~2014) 예술인 레지던스 사업 운영과 전람회를 기획하였다.
|
![]() 정성구 도시콘텐츠연구소 대표 주)도시문화집단CS 대표 Jeong, Seong-goo Representative of Urban Contents Lab. (UCL) Managing Director of Group CS, Inc. |
전남대학교에서 건축학을 공부하고, 동 대학원에서 도시계획.설계를 전공했다. 교수를 한 10년 하다가 누굴 가르치는 적성은 아님을 알고, 광주전남연구원에서 사회문화실장, 도시디자인실장으로 근무하며 도시설계, 도시브랜드, 문화도시,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연구를 담당했다. 현재 도시브랜드와 공간문화 콘텐츠를 만드는 도시문화집단CS의 대표를 맡고 있다.
|
![]() 강나경 비영리전시공간 새탕라움 대표 문화발전소 제비 대표 Kang Nakyoung Managing Director, Art Space SEETANGRAUM Managing Director, Culture Factory JEBI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인력양성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화예술후원센터에서 근무하였으며, 지역문화 정체성에 대한 호기심으로 2016년에 제주로 왔다. 문화예술 관련 기관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지역문화생태계 조성을 위한 현장 플레이어로 활동하고 있다.
|
![]() 김규식 청주시 청년센터 청년뜨락5959 / 센터장 Kim Gyu Sik Cheongju-si YouthCenter youth garden 5959 / director of center |
꽃동네가톨릭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행정학을 전공하였고, 충북대학교세종국가정책대학원 정책학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사단법인충북시민재단 간사로 시작하여 충북NGO센터 팀장 후 청년뜨락5959센터장이 되었다. 현재는 국무총리실 국무조정실의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실무위원,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추진협의회 일하는방식 분과 위원, 문화재정 갈등관리위원회 청년위원, 충청북도성별영향평가위원회 위원, 청주시양성평등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전에는 충청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청년위원회 총괄위원으로 2017년과 2018년 ‘청년실태조사’를 주도 했으며, 2016년 청년,청춘이라는 청년모임을 조직하여 지자체 처음으로 ‘청주시 청년실태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이밖에도 청년정책포럼 등을 기획하고 운영하였으며, 청년이 안고 있는 사회문제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또한 청년 정책의 당사자성을 강조하기 위해 2017년, 2018년 청주시 청년정책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2020년부터 지역주간지 충청투데이 청년과 관련한 기고(칼럼)을 작성하고 있다.
|
![]() 김기곤 광주전남연구원 광주총괄지원연구관 kim, Gi-Gon Gwangju Jennam Research Institute |
전남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광주전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으로 문화 및 인권 분야 지역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 기획위원, 한국광역문화재단연합회 부설 문화정책연구소 연구위원, 세계인권도시포럼 기획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광주시 청년정책과 지속가능발전계획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 정경운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교수 Jeong, Kyung-woon Graduate School of Cultur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Professor |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전남대 문학박사. 현재 대통령소속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문화도시 심의위원, 한국학호남진흥원 이사,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중앙권한이양 전문위원 등을 지내고 있다.
연구분야 |
물로켓단 팀원: 1. 순미경(50gHD) 2. 문병현(공연기획단체 담장이) 3. 이지운(전주영화학교) |
물로켓단은 광주와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순미경, 문병현, 이지운 세 명의 청년 영화인이 모여 참여하는 2021청년아시아문화연구단이다. 이들의 팀명인 ‘물로켓단’은 물로켓처럼 어디로 향할지 모르는, 미래로 나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물로켓단’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월간 국제영화제 ‘로마 국제 무비 어워드’ 수상작 단편영화 <생태교란종>(2021) 감독, 연출, 배우로 참여하면서 만난 인연이다. <생태교란종>은 지역 청년들의 예술 창·제작 활동을 지원하는 광주문화재단 ‘돛단배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영화이다. 발표 키워드 : 영화, 청년예술인, 로컬시네마, K컬처
|
ME&TA 팀원: 1. 손나연(조선대학교 K컬처공연·기획학과 2학년) 2. 김현정(조선대학교 K컬처공연·기획학과 2학년) |
ME&TA는 조선대학교 K컬처공연·기획학과에 재학 중인 손나연, 김현정을 멤버로 하고 있으며, 메타버스와 K-컬처, 대중문화 전반에 관하여 공부하고 있다. 최근 SDGs 사회공헌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에 참가해 장려상을 수상하였고, 외에 동아리 ‘짠란한 인생’ 유튜브 활동, 제20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여 등 직접 영화를 제작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해보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팀명 : 김성진과 김인선 팀원: 1. 김성진(아랍에미리트 사르자대학교 재학생) 2. 김인선(아랍에미리트 자이드대학교 졸업생) |
‘김성진과 김인선’은 아랍에미리트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한인 유학생이다. 이들은 아랍국가 친구들과 다양한 문화교류를 통해 지금까지 느꼈던 여러 감정들과 경험을 중심으로 개인사례연구를 다루고자 한다. 발표 키워드 : 한류, 문화, 코리안클럽, 문화교류행사
|
팀명 : 자이드대학교 아부다비 캠퍼스 코리안클럽 팀원: 1. 모자 알자아비(College of Communication and Media Sciences) 2. 이만 알리(Bachelor of Science in Psychology) 3. 마리암 알 하쉬미(College of business) 4. 이만 알브로우시(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자이드대학교 아부다비 캠퍼스 코리안클럽은 아부다비 내 주요 한류동호회로 2008년 교내 학생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2021청년아시아문화연구단에는 모자 알자아비, 마럄 알 하시미, 이만, 이만 알브로우시 4명의 자이드대학교 코리안클럽 회장, 부회장 등 클럽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주요 간부들로 구성한다.
|